학습

FDI의 개념, 필요성, 영향

노력형 곰돌이 2021. 7. 2. 18:08
반응형

오늘은 해외직접투자(FDI)에 대해 포스팅해보려고 한다.

FDI 개념과 FDI가 필요한 이유, 그리고 FDI가 투자대상국과 투자국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보자.

1. 해외직접투자(FDI)
(1) 개념: 해외에 직접 공장을 짓거나, 회사 운영에 참여하는 것을 의미하고, 단순히 해외에서 자산을 운용하는 것이 아니라는 점에서 단순한 자금 이동에 불과한 간접투자와는 구별된다.
(2) 그린필드투자 (Green Field Investment)
- 투자대상국에서 공장이나 사업장을 직접 새로 짓는 방식의 투자
- 비용이 많이 들고, 생산하기까지 시간이 오래 걸리지만, 투자를 받는 국가 입장에서는 고용창출의 효과가 크다는 장점이 있다.
(3) 브라운필드투자 (Brown Field Investment)
- 이미 설립된 회사를 사들이는 것
- 초기 설립 비용이 들지 않고, 인력, 생산라인 등의 확장을 꾀할 수 있으며, 조기 정상조업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2. 해외직접투자가 필요한 이유
(1) 이론적 요인

1) 입지이론: 다국적 기업들이 좋은 입지조건을 갖춘 곳에서 생산을 하기 위해 직접투자를 한다는 이론으로 자원 / 수송비-무역장벽 등이 입지에 영향을 미친다.

2) 내부화이론: 기업간 거래보다 기업내부거래를 통해 더 거래비용을 크게 줄일 수 있다고 생각될 경우, FDI와 같은 내부화 방식을 채택한다.
- 기술이전의 내부화: 기술판매 대신 다른 나라에 자회사를 설립하고, 합법적으로 기술수수료를 받으면 기업의 핵심 기술들이 직원들에게 체화되거나 전해질 수 있다.
- 수직적 통합의 내부화: 중간재를 생산하는 기업과 사용하는 기업 사이에 발생하는 다양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수직적 통합의 내부화가 사용되기도 한다.
(2) 실제적 요인

1) 시장추구형 FDI: 쉽게 말해 한국과 같이 내수시장이 작은 국가의 경우, 국내에서 생산한 제품 전부를 내수시장에서 소화하기 힘들다. 그렇기 때문에 해외시장을 개척하여 새로운 소비자들을 대상으로 제품을 판매하고자 하는 것이다. 단순 수출만으로는 한계가 있기에, FDI를 통해 현지 생산 및 판매 네트워크를 구축하여 제품 판매를 증진시키려는 것으로 보인다.
2) 자원추구형 FDI: 중국이나 러시아와 같은 국가들은 다양한 자원들을 상당히 많이 보유하고 있다. 이러한 물리적 자원들을 이용하기 위해서 기업들은 FDI를 하게 되는 것이다. 나아가 미국이나 인도와 같이 IT 분야의 인적 자원들이 풍부한 국가들에 직접투자를 하게 된다면, 그 인적 자원들을 통해 새로운 시도를 할 수 있을 것이다.
3) 원가절감형 FDI: 오늘날의 한국은 인건비를 비롯한 각종 비용이 상당히 높은 수준이다. 기업들 입장에서는 비용절감을 통해 이익을 극대화해야 하기 때문에, 중국, 베트남 등 우리나라보다 임금이 낮은 국가들에 직접투자를 하여, 저렴한 인력을 활용하게 된다.
4) 전략적 자산추구형 FDI: 미국의 실리콘벨리나 중국 북경, 심천과 같이 다양한 경쟁력을 가진 기업들이 모여있는 지역에 FDI를 하게 되면, 그들과 자주 소통하고 협력할 기회가 생길 것이다. 그러한 기회를 통해 기업은 경쟁적 우위를 창출할 수 있는 전략적 자산을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IT분야와 같이 전략적 자산이 중추적 역할을 하는 분야에서 많이 사용되는 직접투자유형이다.

3. FDI가 투자대상국/투자국에 미치는 효과
1) 투자대상국에 미치는 효과

- 긍정적 효과

(1) 투자증가로 자본량이 증가하면 총수요곡선과 총공급곡선이 우측으로 이동하므로 국민 소득이 증가한다.
(2) 직접투자의 형태로 외자가 도입되면 생산기술, 경영기법 등도 함께 도입되고, 사회간접자본 건설에 사용될 수 있어 국내기업의 생산성 향상 가능

(3) 다국적 기업이 투자유치국에 생산시설이나 판매망을 설립하여 내국인에게 고용기회를 줄 수 있다.

(4) 기업간 경쟁촉진을 통해 가격인하 및 소비자 후생 증가 가능

- 부정적 효과

(1) 외국기업의 영향력이 증대될 우려가 있다.

(2) 외국자본을 공여한 국가에 대한 의존도가 높아질 수 있다.

(3) 외국자본이 국내저축을 대체하여, 단기적으로 국내저축이 감소할 가능성이 있다.

(4) 다국적 기업이 노동 및 자원에 대해 지나치게 낮은 비용을 지불하고, 높은 수익률을 거둬가는 경우도 있다.

2) 투자국에 미치는 영향

(1) 생산기반의 해외이전으로 국내고용 감소

(2) 투자국의 자본수지가 악화될 수 있다.

(3) 투자유치국의 자회사가 자국으로부터 자본재 등을 수입하거나, 투자국에 배당금, 이자, 특허사용료 등을 지불하게 되므로 국제수지를 개선시킬 수도 있다.

반응형